여성 권리 신장이 곧 친환경이라는 릴리 콜의 인터뷰

https://beegall.com/articles/23950
2023/09/04 14:38
조회수: 235

A lot of people don't believe in having more than one or two children for the environment. What do you make of this viewpoint?

It's an interesting question. And again, I sort of looked into this topic quite a lot in the book, and it's really nuanced. Fundamentally, I think it's about choice. There is a really compelling argument that we need to manage population growth in order to have less of an impact on the earth, less of a need for food, a need for material resources.

환경을 위한다면 한두 명 이상의 아이는 낳지 말아야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이런 관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흥미로운 질문이네요. 제가 책에서 이런 주제를 좀 많이 찾아봤어요. 맥락이 중요한 주제예요. 근본적으로 말하면, 선택의 문제라고 생각해요. 인구 증가를 조절해야만 우리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음식과 물질 자원에 대한 수요를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상당히 설득력이 있거든요.

I don't think this is the kind of conversation we should shy away from having because it will make a big difference whether we have ten billion people or 12 billion people on the planet in a century's time. But actually, interestingly it's all about women's empowerment.

이런 주제의 논의를 꺼려선 안 된다고 생각해요. 한 세기 동안 지구에 100억 명의 사람이 있느냐 120억 명의 사람이 있느냐는 굉장히 큰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거든요. 그런데 사실 흥미롭게도 이건 다 여성의 힘의 문제예요. 

When women are empowered and communities are given access to education, access to sex education, access to contraception, birth rates usually stabilise and in many wealthier countries, the birth rate is stable or is going down. So it's very much coupled to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which I think is really interesting.

여성이 힘을 얻고 커뮤니티가 교육과 성교육, 피임에 대한 접근권을 갖게 되면 출산율은 대체로 안정화 되고, 부유국의 출산율은 안정화 됐거나 내려가고 있거든요. 결국 성 평등 및 여성의 권리와 맞물려 있는 문제인 거죠. 저는 이 점이 아주 흥미롭다고 생각해요.

That being said, it's really important that you don't talk about population growth without also talking about consumption growth because they're not neatly separated.

다시 말해서, 인구 증가에 대해서 논의할 때 소비 증가를 빼놓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 둘은 떼어놓을 수 없거든요. 



출처: 헬로 매거진 인터뷰 

https://www.hellomagazine.com/celebrities/20220421136950/lily-cole-environment-earth-day-issue-exclusive/

정말 얘기하기 어려운 주제인데 용기있게 목소리를 냈네 너무 좋다 


code: [7b92e]
목록 Gift

댓글

code: [a77b4] - 2023/09/04 16:15

역시 내아내 똑똑하고 말도 잘하지 ㅠㅠㅠㅠㅠㅠ

답글
permalink 삭제 gift
code: [3ee2c] - 2023/09/05 07:51
답글
permalink 삭제 gift
code: [27167] - 2023/09/06 16:01

진짜 좋은 인터뷰다 가져와줘서 고마워!

답글
permalink 삭제 gift

목록
No 제목 날짜 조회수 추천수
23895 좀100 기어이 도태남 판타지 보여주네 [4] 08-14 211 4
23894 붕모닝!!! ☀️ [2] 08-14 137 2
23893 인디 작품 펀딩하는 사이트도 있네 [3]
08-14 163 3
23892 밑에 조명 얘기 보니까 왕좌의 게임 803 생각나 [3]
08-14 203 6
23891 아 왜이렇게 덥냐 진짜 [3]
08-13 154 1
23890 ㅃ ㅌㄷㅁㅇ 정발 중단된 쪽본만화 누가 번역좀 안 해주나 [1] 08-13 167 1
23889 넷플 페인킬러 인트로 유가족 증언 듣는데 울음 터짐 [2]
08-13 214 4
23888 요새 부키 생각이 났는데 한 남자 개봉한다 [1]
08-12 150 3
23887 박세즈 dumb money 재밌어보이는데 단 한 가지 [2]
08-12 174 5
23886 9시에 중어권갤러리에서 메리 마이 데드 바디 달려요 [2]
08-12 196 5
23885 떼 따완 히노타니 온천에서 [1]
08-12 163 3
23884 세즈 신작 Dumb money 덤 머니 [2]
08-12 222 5
23883 아 얼마 전에 세즈된 박준비 꿈에 나옴
08-12 176 5
23882 붕모닝! [2]
08-12 138 1
23881 ㅃ 입갤하면 로그아웃 된거 같이 화면이 표시되는디 [3] 08-12 135 2
23880 바비 코스프레한 행복한 골든 리트리버들 [2]
08-12 229 6
23879 넷플릭스와 커튼 회사의 부정한 결탁이 의심됨 [6]
08-11 212 5
23878 완전 공주와 개구리 루이 등장씬 상황이네 [2]
08-11 136 4
23877 더그 스탠호프의 인구 과잉과 환경에 대한 코미디 [1] 08-11 157 3
23876 공항에서 티모시 샬라메 봤어 [2]
08-10 189 3